100Wh? 160Wh?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 헷갈릴 때 이 글을!
여행 가방에 보조배터리 챙기셨나요? 그런데 이게 기내에 들고 탈 수 있는 용량인지 알고 계시나요?
기준이 까다롭고, 항공사마다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잘못하면 공항에서 압수당하거나 비행기 탑승이 지연될 수도 있어요.
지금 내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여부 확인하기
🔌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, 왜 중요한가요?
보조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해 과열 또는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.
이 때문에 위탁수하물에는 절대 넣을 수 없고, 기내에 직접 휴대해야 하죠.
그런데 휴대한다고 해서 모두 가능한 건 아닙니다.
✔️ 'Wh(와트시)' 용량 기준에 따라 반입 가능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이에요.
✅ Wh 기준별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여부
배터리 용량 | 기내 반입 가능 여부 | 비고 |
---|---|---|
100Wh 이하 | ✅ 반입 가능 | 별도 승인 없이 무제한 소지 가능 (항공사마다 2~4개 제한 있음) |
100~160Wh | ✅ 반입 가능 | 단,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|
160Wh 초과 | ❌ 반입 불가 | 위탁, 기내 모두 금지 |
🔍 Wh 계산법
→ mAh(밀리암페어) × V(전압) ÷ 1000 = Wh
✈️ 항공사별 규정, 꼭 확인해야 해요!
대부분의 항공사는 국제민간항공기구(ICAO) 기준을 따르지만,
LCC(저가항공)나 외항사의 경우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예시
- 대한항공: 100Wh 이하 무제한 / 160Wh까지 2개
- 아시아나: 동일 기준
- 제주항공·진에어 등 LCC: 100Wh 이하 최대 2개
- 외항사(델타, 에어프랑스 등): 사전 신고 필수
🛄 보조배터리는 '개인 소지'만 가능합니다
많은 분들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.
✔️ 보조배터리는 기내반입 OK지만, 선반 보관은 NO!
→ 좌석 아래나 가방 속에 넣어 직접 소지해야 합니다.
→ 2025년 3월부터는 기내 선반에 두는 것도 금지됩니다.
👉 관련 기사 보기: 항공보안지침 업데이트
✅ 보조배터리 반입 체크리스트
- ✅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(100Wh 이하인지)
- ✅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여부 확인
- ✅ 배터리 상태(충격, 팽창 등 이상 없음)
- ✅ 기내 가방 또는 주머니에 넣었는지 확인
- ✅ 여분 배터리는 절연 처리(테이프 등) 권장
✈️ 마무리: 규정만 알면 걱정 없이 여행할 수 있어요
보조배터리는 여행 필수템이지만, 용량 기준을 모르면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.
특히 공항 검색대에서 반입이 거부되면 불편함은 물론, 손해까지 발생할 수 있죠.
💡 출국 전 2분만 투자해 내 보조배터리가 기내 반입 가능한지 꼭 체크해보세요!
지금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 확인하기